[스포탈코리아=전주] 김성민 기자= 전북 현대가 자랑하는 ‘닥공’이 한층 업그레이드 됐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이동국(34)이 있었다.
전북은 24일 저녁 7시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AFC(아시아축구연맹) 챔피언스리그(ACL) 2013 F조 5차전 무앙통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서 이동국과 박희도의 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했다.
사실 전북은 이날 경기에서 더 많은 골을 넣을 수 있었다. 전북은 전반 내내 압도적으로 경기를 지배했음에도 불구하고 골을 기록하지 못해 경기를 어렵게 끌고 갔다.
많은 경기에서 봐왔듯 경기를 주도하던 팀이 파상 공세에도 불구하고 골을 기록하지 못했을 때는, 오히려 더 쉽게 지치기 마련이다. 그렇기에 이른 시간의 선제골은 중요했고 해결사는 이동국이었다.
이동국은 후반이 시작되자마자 남들보다 더 많은 활동량으로 공간을 만들어 내려 노력했고, 자신이 집중 수비를 받을 때에는 박희도와 에닝요에게 기회를 만들어 주는 역할을 톡톡히 했다.
후반 3분에는 세트피스 상황에서 에닝요가 올려준 크로스를 강력한 헤딩으로 연결했다. 공은 무앙통의 골문을 넘어섰지만, 이는 오프사이드로 판정되며 아쉬움을 삼켰다. 그러나 이때부터 전북의 ‘닥공’은 시동이 걸리기 시작했다. 후반 9분 무앙통의 수비수들을 괴롭히던 이동국은 페널티 에어아인 근처에서 기습적인 발리 슈팅을 시도했고 공은 무앙통 수비수의 팔을 맞아 전북에게 페널티킥 기회가 주어졌다.
이 결정적인 기회를 마무리 한 것도 이동국이었다. 그는 직접 키커로 나서 강력한 오른발 슈팅으로 무앙통의 골문을 갈랐다. 이동국의 이 골은 선제골 이상의 의미가 있었다. 파상 공세에도 불구하고 공격의 포인트를 찾지 못하고 밸런스가 무너지고 있던 전북에게 반전의 계기를 마련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동국의 활약에 전북의 공격수들은 흐름을 타기 시작했고 후반 13분 박희도가 에닝요의 크로스를 이어받아 팀의 두 번째 골을 기록했다. 이후 전북은 파상공세를 퍼부으면서도 흔들리지 않는 공격라인을 유지하는 성숙된 ‘닥공’의 모습을 보였다.
전북의 팀 컬러는 그야말로 ‘닥공’이다. 그러나 때로는 과한 공격적 경기 운영으로 팀의 밸런스가 무너지는 모습도 종종 보였다. 이동국이 전북의 ‘닥공’을 안정감 있게 잡아줄 열쇠인 것은 분명하다.
사진 제공= 전북 현대
전북은 24일 저녁 7시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AFC(아시아축구연맹) 챔피언스리그(ACL) 2013 F조 5차전 무앙통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서 이동국과 박희도의 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했다.
사실 전북은 이날 경기에서 더 많은 골을 넣을 수 있었다. 전북은 전반 내내 압도적으로 경기를 지배했음에도 불구하고 골을 기록하지 못해 경기를 어렵게 끌고 갔다.
많은 경기에서 봐왔듯 경기를 주도하던 팀이 파상 공세에도 불구하고 골을 기록하지 못했을 때는, 오히려 더 쉽게 지치기 마련이다. 그렇기에 이른 시간의 선제골은 중요했고 해결사는 이동국이었다.
이동국은 후반이 시작되자마자 남들보다 더 많은 활동량으로 공간을 만들어 내려 노력했고, 자신이 집중 수비를 받을 때에는 박희도와 에닝요에게 기회를 만들어 주는 역할을 톡톡히 했다.
후반 3분에는 세트피스 상황에서 에닝요가 올려준 크로스를 강력한 헤딩으로 연결했다. 공은 무앙통의 골문을 넘어섰지만, 이는 오프사이드로 판정되며 아쉬움을 삼켰다. 그러나 이때부터 전북의 ‘닥공’은 시동이 걸리기 시작했다. 후반 9분 무앙통의 수비수들을 괴롭히던 이동국은 페널티 에어아인 근처에서 기습적인 발리 슈팅을 시도했고 공은 무앙통 수비수의 팔을 맞아 전북에게 페널티킥 기회가 주어졌다.
이 결정적인 기회를 마무리 한 것도 이동국이었다. 그는 직접 키커로 나서 강력한 오른발 슈팅으로 무앙통의 골문을 갈랐다. 이동국의 이 골은 선제골 이상의 의미가 있었다. 파상 공세에도 불구하고 공격의 포인트를 찾지 못하고 밸런스가 무너지고 있던 전북에게 반전의 계기를 마련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동국의 활약에 전북의 공격수들은 흐름을 타기 시작했고 후반 13분 박희도가 에닝요의 크로스를 이어받아 팀의 두 번째 골을 기록했다. 이후 전북은 파상공세를 퍼부으면서도 흔들리지 않는 공격라인을 유지하는 성숙된 ‘닥공’의 모습을 보였다.
전북의 팀 컬러는 그야말로 ‘닥공’이다. 그러나 때로는 과한 공격적 경기 운영으로 팀의 밸런스가 무너지는 모습도 종종 보였다. 이동국이 전북의 ‘닥공’을 안정감 있게 잡아줄 열쇠인 것은 분명하다.
사진 제공= 전북 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