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탈코리아] 정지훈 기자= 그야말로 역대급 시즌이었다. 맨체스터 시티의 우승으로 끝이 난 올 시즌은 최근 몇 년간 볼 수 없었던 혼돈의 시즌이었고 시즌 막판까지 팬들에게 큰 즐거움을 선사했다.
맨시티는 12일 새벽(한국시간) 맨체스터의 에티하드 스타디움에서 끝난 2013/2014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웨스트햄과의 38라운드에서 나스리, 콤파니의 연속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했다. 이날 승리한 맨시티는 승점 86점으로 리그 2위 리버풀(승점 84)을 따돌리고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시즌 막판까지 우승팀의 향방을 알 수 없는 흥미로운 시즌이었다. 특히 애초 우승후보라 평가받던 맨시티, 첼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아스널은 물론 ‘명가’ 리버풀까지 화려하게 부활하면서 빅4에 진입했고 에버턴과 토트넘 그리고 사우샘프턴도 충분한 저력을 보여줬다. 여기에 강등 전쟁도 치열하게 벌어지며 또 다른 재미를 안겨줬다.
그야말로 역대급 시즌. 이토록 2013/2014 시즌이 흥미로웠던 이유는 무엇일까?
‘102골’ 맨시티의 막강화력, 2년 만에 우승컵을 차지하다
이번 시즌 우승컵은 결국 맨시티가 차지했다. 지난 2011/2012시즌 극적인 명승부를 연출하며 우승컵을 들어 올렸던 맨시티는 이번 시즌을 앞두고 대대적인 선수 보강보다는 팀을 하나로 잡아줄 감독을 데려왔다. 그 주인공은 마누엘 페예그리니 감독이다. 기대와 우려가 공존했지만 페예그리니 감독은 팀을 빠르게 안정시켰고 막강 화력을 바탕으로 승점을 챙겼다. 특히 매 경기 엄청난 득점력을 폭발시키며 ‘식스앤더시티’라고 불리며 결국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우승의 여정이 쉬운 것만은 아니었다. 시즌 초반에는 아스널의 저력에 밀리며 어려움을 겪었고 특히 챔피언스리그를 병행하면서 체력적인 문제와 집중력 저하로 한 때는 우승권에서 멀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챔피언스리그 무대에서 탈락한 후 다시 팀을 정비했고 시즌 막판 연승 행진을 달리면서 주춤한 리버풀과 첼시를 따돌리고 결국 감격적인 우승을 차지했다.
맨유의 몰락, 빅4가 아닌 빅7이 된 EPL
지난 시즌 챔피언이었던 맨유가 시즌을 앞두고 데이비드 모예스 감독을 선임하며 다시 한 번 우승을 노렸다. 그러나 모예스 감독의 전술과 지략은 맨유에서 빛을 발하지 못했다. 계속된 패배와 실망스런 경기력을 보이며 결국 시즌 막판 경질 당했다. 특히 모예스 감독은 선수단을 장악하지 못하면서 실패했다. 결국 이번 시즌 맨유는 리그 7위라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았다.
맨유가 몰락하면서 기존 빅4 체제가 무너졌다. 맨유가 빠진 자리는 리버풀이 차지, 맨시티, 리버풀, 첼시, 아스널이 새로운 빅4를 결성했다. 그러나 사실상 우승 후보는 7팀이었고 맨유를 비롯해, 토트넘과 에버턴이 다음 시즌 빅7을 구성하며 힘겨운 경쟁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명가의 부활’ 리버풀, 챔피언스리그에 복귀하다
최근 몇 시즌 동안 부진했던 리버풀이 화려하게 부활했다. 특히 브렌단 로저스 감독은 리버풀에 패스 축구를 이식했다. 수아레스, 스터리지, 스털링, 제라드를 중심으로 한 공격력과 패싱 플레이는 파괴력이 넘쳤다. 결국 리버풀은 이번 시즌 101골을 터트리며 인상적인 공격력을 펼치며 리그 2위를 차지했다. 물론 아쉽게 리그 우승을 놓쳤지만 챔피언스리그 무대에 복귀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박수를 받을 수 있었다.
무리뉴의 복귀, 감독들의 지략 대결 치열했다
주제 무리뉴 감독이 첼시로 복귀했다. 물론 알렉스 퍼거슨 감독이라는 명장을 떠나보낸 EPL이지만 무리뉴 감독이 복귀하면서 새로운 감독 대결이 형성됐다. 특히 무리뉴 감독과 깊은 인연이 있는 로저스 감독이 전술가로 이름을 날렸고, 아르센 벵거 감독은 여전한 지도력을 과시했다. 또한, 페예그리니 감독도 스페인 무대에서 왜 성공했는지 확실히 보여줬다. 여기에 모예스 감독이 가세했지만 아쉽게 실패했다.
그러나 무리뉴 감독을 비롯한 이 네 명장들의 지략 대결은 시즌 내내 치열했고 이번 시즌 EPL을 흥미롭게 만들었다.
사진=©BPI/스포탈코리아
맨시티는 12일 새벽(한국시간) 맨체스터의 에티하드 스타디움에서 끝난 2013/2014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웨스트햄과의 38라운드에서 나스리, 콤파니의 연속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했다. 이날 승리한 맨시티는 승점 86점으로 리그 2위 리버풀(승점 84)을 따돌리고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그야말로 역대급 시즌. 이토록 2013/2014 시즌이 흥미로웠던 이유는 무엇일까?
‘102골’ 맨시티의 막강화력, 2년 만에 우승컵을 차지하다
이번 시즌 우승컵은 결국 맨시티가 차지했다. 지난 2011/2012시즌 극적인 명승부를 연출하며 우승컵을 들어 올렸던 맨시티는 이번 시즌을 앞두고 대대적인 선수 보강보다는 팀을 하나로 잡아줄 감독을 데려왔다. 그 주인공은 마누엘 페예그리니 감독이다. 기대와 우려가 공존했지만 페예그리니 감독은 팀을 빠르게 안정시켰고 막강 화력을 바탕으로 승점을 챙겼다. 특히 매 경기 엄청난 득점력을 폭발시키며 ‘식스앤더시티’라고 불리며 결국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우승의 여정이 쉬운 것만은 아니었다. 시즌 초반에는 아스널의 저력에 밀리며 어려움을 겪었고 특히 챔피언스리그를 병행하면서 체력적인 문제와 집중력 저하로 한 때는 우승권에서 멀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챔피언스리그 무대에서 탈락한 후 다시 팀을 정비했고 시즌 막판 연승 행진을 달리면서 주춤한 리버풀과 첼시를 따돌리고 결국 감격적인 우승을 차지했다.
맨유의 몰락, 빅4가 아닌 빅7이 된 EPL
지난 시즌 챔피언이었던 맨유가 시즌을 앞두고 데이비드 모예스 감독을 선임하며 다시 한 번 우승을 노렸다. 그러나 모예스 감독의 전술과 지략은 맨유에서 빛을 발하지 못했다. 계속된 패배와 실망스런 경기력을 보이며 결국 시즌 막판 경질 당했다. 특히 모예스 감독은 선수단을 장악하지 못하면서 실패했다. 결국 이번 시즌 맨유는 리그 7위라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았다.
맨유가 몰락하면서 기존 빅4 체제가 무너졌다. 맨유가 빠진 자리는 리버풀이 차지, 맨시티, 리버풀, 첼시, 아스널이 새로운 빅4를 결성했다. 그러나 사실상 우승 후보는 7팀이었고 맨유를 비롯해, 토트넘과 에버턴이 다음 시즌 빅7을 구성하며 힘겨운 경쟁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명가의 부활’ 리버풀, 챔피언스리그에 복귀하다
최근 몇 시즌 동안 부진했던 리버풀이 화려하게 부활했다. 특히 브렌단 로저스 감독은 리버풀에 패스 축구를 이식했다. 수아레스, 스터리지, 스털링, 제라드를 중심으로 한 공격력과 패싱 플레이는 파괴력이 넘쳤다. 결국 리버풀은 이번 시즌 101골을 터트리며 인상적인 공격력을 펼치며 리그 2위를 차지했다. 물론 아쉽게 리그 우승을 놓쳤지만 챔피언스리그 무대에 복귀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박수를 받을 수 있었다.
무리뉴의 복귀, 감독들의 지략 대결 치열했다
주제 무리뉴 감독이 첼시로 복귀했다. 물론 알렉스 퍼거슨 감독이라는 명장을 떠나보낸 EPL이지만 무리뉴 감독이 복귀하면서 새로운 감독 대결이 형성됐다. 특히 무리뉴 감독과 깊은 인연이 있는 로저스 감독이 전술가로 이름을 날렸고, 아르센 벵거 감독은 여전한 지도력을 과시했다. 또한, 페예그리니 감독도 스페인 무대에서 왜 성공했는지 확실히 보여줬다. 여기에 모예스 감독이 가세했지만 아쉽게 실패했다.
그러나 무리뉴 감독을 비롯한 이 네 명장들의 지략 대결은 시즌 내내 치열했고 이번 시즌 EPL을 흥미롭게 만들었다.
사진=©BPI/스포탈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