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한용섭 기자] 메이저리그 LA 다저스 오타니 쇼헤이가 올해 도루에 의한 득점 창출에서 ‘+7’을 기록해 메이저리그 1위에 올랐다.
MLB.com은 17일(이하 한국시간) 스탯캐스트의 최신 지표를 활용해 최고의 주자를 분석했다. 스탯캐스트는 도루 등 베이스러닝이 누가 가장 뛰어난지 보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 기존에 있던 ‘추가 진루’(Extra ba
메이저리그는 피치 클락 도입과 투수 견제구 제한으로 지난 2년간 도루가 급증했다.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애틀랜타 브레이브스)는 지난해 ‘40홈런-70도루’를 역대 최초로 달성했고, 오타니 쇼헤이(LA 다저스)는 올해 ‘50홈런-50도루’ 신기원을 열었다.
투타 겸업으로 메이저리그 슈퍼 스타 자리에 오른 오타니는 올해는 팔꿈치 수술 재활로 타자로만 전념했다. 붙박이 지명타자로 뛰면서 내셔널리그 홈런왕(54홈런)에 올랐는데, 도루도 59개나 성공했다.
올해 메이저리그에서 도루 1위는 엘리 데 라 크루즈(22, 신시내티)였다. 지난해 빅리그에 데뷔, 올해 처음 풀타임 시즌을 치른 데 라 크루즈는 196cm의 장신에서 나오는 폭발적인 스피드로 67도루를 성공했다. 최고 스피드는 메이저리그 톱 수준인 30피트/s(초당 약 9.14m)다.
오타니는 50도루로 2위였다. 오타니의 최고 스피드는 28.1피트/s(초당 약 8.56m)였다. 오타니는 도루 실패가 단 4개, 데 라 크루즈는 16차례 도루 실패를 했다.
스탯캐스트는 데 라 크루즈의 '진루 성공’(도루+보크)은 평균 대비 +50, ‘베이스 아웃’(도루 실패+견제사)은 평균 대비 -10으로 계산했다. ‘순 베이스 획득’(Net ba
MLB.com은 “가장 가치 있는 도루 선수는 오타니였다(Shohei Ohtani was the most valuable ba
오타니는 도루 성공률이 93.7%로 높았다. 도루 30개 이상 성공한 선수들 중에서 마이켈 가르시아(캔자스시티)가 성공률 94.8%(도루 37개, 실패 2개)로 1위였다. 빅터 로블레스(시애틀)가 성공률 94.4%(도루 34개, 실패 2개)로 2위, 오타니가 3위였다. 데 라 크루즈는 성공률 80.7%였다.
MLB.com은 “득점에 있어서 도루 실패의 비용이 도루 성공의 비용 보다 더 높다. 도루가 항상 득점을 올리는 것과 득점하지 못하는 것의 차이를 만드는 것은 아니다”라고 도루 실패로 인한 아웃의 가치를 언급했다.
매체는 “스탯캐스트의 도루 지표를 득점 가치로 환산하면 가장 가지 있는 도루 선수는 데 라 크루즈가 아니라 오타니다. 오타니는 데 라 크루즈보다 훨씬 적은 아웃을 당했다”고 언급했다.
오타니는 도루에 의한 ‘득점 창출’에서 ‘+7’을 기록해 메이저리그 전체 1위였다. 브라이스 투랑(밀워키), 빅터 로블레스, 데라 크루즈가 도루 득점 창출 ‘+6’으로 뒤를 이었다.
도루는 베이스러닝에서 절반에 해당하고, 추가 베이스 진루가 나머지 절반이다. 두 가지를 합친 것이 ‘베이스러닝 런’이다.
베이스러닝 가치에서는 코빈 캐롤(애리조나)이 1위였다. 캐롤은 도루 능력 외에도 추가 베이스 진루 능력도 뛰어나다. 캐롤은 올해 베이스러닝 런 ‘+12’를 기록해 ML 1위였다. 추가 진루에서 ‘+9’로 압도적인 1위였고, 도루에 의한 득점 창출은 ‘+4’였다.
오타니는 추가 진루에서 ‘+1’을 기록, 도루 득점 창출 ‘+7’을 합쳐 ‘+8’로 메이저리그 2위였다. 데 라 크루즈는 도루 득점 창출 '+6'에 추가 진루 ‘+2’를 기록해 합산 ‘+7’로 4위였다.
/orange@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