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 경선에서 패배하고 탈당한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16일 하와이에서 페이스북을 통해 당을 맹비판하며 한국 보수 정치의 전면 재편을 촉구했다. 그는 “국민의힘이 ‘국민의짐’이 된 줄도 모르고 노년층만 상대로 떠들고 있다”며 당의 현주소를 날카롭게 지적했다.
“정통 보수주의는 끝났다”…국민의힘에 직격탄
홍 전 시장은 “이번 대선이 끝나면 한국의 정통 보수주의는 기존 판을 갈아엎고 새판을 짜야 한다”며 “판이 바뀌지 않으면 보수진영은 살아날 길이 없다”고 단언했다. 그는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절 자신이 ‘저격수’로 활약했던 때를 “가장 행복했던 시절”로 회고하며, 당시의 국민의힘(당시 한나라당)이 “일을 하러 나갔다가 돌아오면 빈둥거리던 자들이 안방을 차지한” 구조였다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이회창 총재의 정계 은퇴 이후 정통 보수주의는 끝났다”며, 이후 국민의힘은 “사이비 보수들이 미사여구로 국민을 속인 세월”이었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이는 당의 이념적 정체성과 리더십 부재를 겨냥한 발언으로, 당내 갈등과 대선 국면에서의 전략 부재를 우회적으로 꼬집은 것으로 풀이된다.
김문수의 ‘하와이 설득조’에 단호한 거절
홍 전 시장은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가 자신을 선거대책위원회에 끌어들이려는 시도에도 선을 그었다. 김문수 후보는 홍 전 시장의 최측근인 김대식 의원을 하와이로 보내 설득 작업을 벌이려 했으나, 홍 전 시장은 페이스북 댓글에서 “오지 말라고 했다”며 “문수 형은 안타깝지만 그 당은 이미 탈당했다”고 단호히 밝혔다.
김대식 의원은 홍 전 시장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18일 하와이로 출국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김문수 후보가 당내 단일화 내홍과 홍 전 시장의 탈당으로 인한 보수층 이탈을 막기 위해 필사적으로 외연 확장에 나선 시도로 보인다. 하지만 홍 전 시장은 “국민의힘과 절연했다”며 합류 가능성을 일축했다.
보수 재편론의 파장
홍 전 시장의 이번 발언은 6·3 대선이 19일 앞으로 다가온 시점에서 국민의힘 캠프에 적잖은 파장을 일으킬 전망이다. 그는 과거 당의 부활을 이끌었다고 자평하며 “국민의힘이 내게 베풀어 준 건 없다”고 밝힌 바 있다. 그의 ‘보수 새판’ 주장은 대선 이후 보수진영의 권력 재편과 신당 창당 가능성을 암시하며, 당내 비주류와 중도층의 지지를 자극할 수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홍 전 시장의 발언이 대선 국면에서 보수 표심의 분열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국민의힘은 이미 김문수 후보의 선출 과정에서 한덕수 전 총리와의 단일화 파동으로 내홍을 겪었고, 선거운동 초기 현수막과 유세 차량 준비 부족으로 조직력 약점을 드러냈다. 홍 전 시장의 비판은 이런 상황에서 당의 위기감을 더욱 부각시킬 가능성이 크다.
대선 판세와 홍준표의 행보
현재 김문수 후보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의 양강 구도 속에서 ‘반이재명’ 전선을 구축하려 하지만, 홍 전 시장을 포함한 주요 인사들의 협조 거부로 ‘빅텐트’ 전략이 흔들리고 있다. 홍 전 시장은 대선 후 귀국해 정치적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며, 그의 ‘보수 재편론’이 현실화될지는 대선 결과와 당내 역학 관계에 달렸다.
홍준표의 하와이발 메시지는 단순한 불만 표출을 넘어 한국 보수 정치의 미래를 둘러싼 논쟁의 불씨를 던졌다. 과연 그의 예언대로 보수진영은 ‘새판’을 짤 수 있을까. 투표일이 다가올수록 그의 행보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스포탈코리아 기획취재팀
“정통 보수주의는 끝났다”…국민의힘에 직격탄
홍 전 시장은 “이번 대선이 끝나면 한국의 정통 보수주의는 기존 판을 갈아엎고 새판을 짜야 한다”며 “판이 바뀌지 않으면 보수진영은 살아날 길이 없다”고 단언했다. 그는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절 자신이 ‘저격수’로 활약했던 때를 “가장 행복했던 시절”로 회고하며, 당시의 국민의힘(당시 한나라당)이 “일을 하러 나갔다가 돌아오면 빈둥거리던 자들이 안방을 차지한” 구조였다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이회창 총재의 정계 은퇴 이후 정통 보수주의는 끝났다”며, 이후 국민의힘은 “사이비 보수들이 미사여구로 국민을 속인 세월”이었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이는 당의 이념적 정체성과 리더십 부재를 겨냥한 발언으로, 당내 갈등과 대선 국면에서의 전략 부재를 우회적으로 꼬집은 것으로 풀이된다.
김문수의 ‘하와이 설득조’에 단호한 거절
홍 전 시장은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가 자신을 선거대책위원회에 끌어들이려는 시도에도 선을 그었다. 김문수 후보는 홍 전 시장의 최측근인 김대식 의원을 하와이로 보내 설득 작업을 벌이려 했으나, 홍 전 시장은 페이스북 댓글에서 “오지 말라고 했다”며 “문수 형은 안타깝지만 그 당은 이미 탈당했다”고 단호히 밝혔다.
김대식 의원은 홍 전 시장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18일 하와이로 출국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김문수 후보가 당내 단일화 내홍과 홍 전 시장의 탈당으로 인한 보수층 이탈을 막기 위해 필사적으로 외연 확장에 나선 시도로 보인다. 하지만 홍 전 시장은 “국민의힘과 절연했다”며 합류 가능성을 일축했다.
보수 재편론의 파장
홍 전 시장의 이번 발언은 6·3 대선이 19일 앞으로 다가온 시점에서 국민의힘 캠프에 적잖은 파장을 일으킬 전망이다. 그는 과거 당의 부활을 이끌었다고 자평하며 “국민의힘이 내게 베풀어 준 건 없다”고 밝힌 바 있다. 그의 ‘보수 새판’ 주장은 대선 이후 보수진영의 권력 재편과 신당 창당 가능성을 암시하며, 당내 비주류와 중도층의 지지를 자극할 수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홍 전 시장의 발언이 대선 국면에서 보수 표심의 분열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국민의힘은 이미 김문수 후보의 선출 과정에서 한덕수 전 총리와의 단일화 파동으로 내홍을 겪었고, 선거운동 초기 현수막과 유세 차량 준비 부족으로 조직력 약점을 드러냈다. 홍 전 시장의 비판은 이런 상황에서 당의 위기감을 더욱 부각시킬 가능성이 크다.
대선 판세와 홍준표의 행보
현재 김문수 후보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의 양강 구도 속에서 ‘반이재명’ 전선을 구축하려 하지만, 홍 전 시장을 포함한 주요 인사들의 협조 거부로 ‘빅텐트’ 전략이 흔들리고 있다. 홍 전 시장은 대선 후 귀국해 정치적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며, 그의 ‘보수 재편론’이 현실화될지는 대선 결과와 당내 역학 관계에 달렸다.
홍준표의 하와이발 메시지는 단순한 불만 표출을 넘어 한국 보수 정치의 미래를 둘러싼 논쟁의 불씨를 던졌다. 과연 그의 예언대로 보수진영은 ‘새판’을 짤 수 있을까. 투표일이 다가올수록 그의 행보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스포탈코리아 기획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