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는 5·18 민주화 운동 45주년을 맞은 18일 "역사는 그 역사로 남지 않았고 작년 12월 3일에는 다시 현재를 구하고 사람들을 다시 살렸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한 뒤 기자들에게 "언제나 5월은 아름다운 계절이기도 하고 가슴 아프고 슬픈 계절이기도 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영원히 역사에 남을 5·18의 현장"이라며 "가슴 아픈 우리 유족들, 여전히 고통받는 피해자들에게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이어 "광주 5·18 민주화 운동의 진상에 대해 아직도 여전히 발포 명령자가 확정되지 않고 있다"며 "단죄도 완전하지 못하고 불완전했기 때문에 작년 12·3 밤과 같은 어처구니없는 친위 군사 쿠데타를 다시 시도하는 일 벌어졌다"고 지적했다.
또 "광주 5·18 진상 규명과 엄정한 책임은 미완의 상태라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 조치가 앞으로도 계속돼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거기 덧붙여 아직도 작년 12·3 군사 쿠데타의 주요 임무 종사자가 국가 기관에 남아 국가 권력 행사 중"이라며 "여전히 제2의, 제3의 내란 계속되는 데 대해서도 국민들의 힘을 모아 반드시 발본색원하고 책임을 엄정하게 물어 국가 권력을 악용하는 군사 쿠데타 국민의 인권 생명 침해를 상상도 못 할 안전하고 평화로운 세상 만들어야겠다"고 강조했다.
뉴스1
이 후보는 이날 오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한 뒤 기자들에게 "언제나 5월은 아름다운 계절이기도 하고 가슴 아프고 슬픈 계절이기도 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영원히 역사에 남을 5·18의 현장"이라며 "가슴 아픈 우리 유족들, 여전히 고통받는 피해자들에게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이어 "광주 5·18 민주화 운동의 진상에 대해 아직도 여전히 발포 명령자가 확정되지 않고 있다"며 "단죄도 완전하지 못하고 불완전했기 때문에 작년 12·3 밤과 같은 어처구니없는 친위 군사 쿠데타를 다시 시도하는 일 벌어졌다"고 지적했다.
또 "광주 5·18 진상 규명과 엄정한 책임은 미완의 상태라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 조치가 앞으로도 계속돼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거기 덧붙여 아직도 작년 12·3 군사 쿠데타의 주요 임무 종사자가 국가 기관에 남아 국가 권력 행사 중"이라며 "여전히 제2의, 제3의 내란 계속되는 데 대해서도 국민들의 힘을 모아 반드시 발본색원하고 책임을 엄정하게 물어 국가 권력을 악용하는 군사 쿠데타 국민의 인권 생명 침해를 상상도 못 할 안전하고 평화로운 세상 만들어야겠다"고 강조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