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동안 경기도 아파트값이 서울을 웃도는 상승폭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에서 가장 비싼 지역은 '준강남' '강남 옆세권'으로 불리는 경기 과천시로 집계됐다.
20일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한국부동산원 월별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을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2025년 3월까지 경기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39.8% 상승했다.
이는 전국 평균 27.3%와 서울 평균 31.2%를 모두 넘어선 수치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에 이어 충북(37.2%), 세종(37.0%), 서울(31.2%), 강원(30.5%) 순으로 5년간 상승률이 높았다.
수도권 전체로 보면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33.5%로, 비수도권 지방 상승률 17.1%의 약 두 배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대구(1.3%)와 제주(1.9%)는 5년간 거의 가격 변동이 없었다.
경기도내 지역별로 보면 남양주시(41.7%), 고양시 덕양구(42.9%), 하남시(44.4%) 등은 40%를 넘는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올해 3월 기준 경기도 내에서 아파트 매매가격이 가장 비싼 지역은 과천시로 17억5991만원을 기록했다. 도내 가장 저렴한 지역인 포천시(1억5816만원)와 비교해선 11배가 넘는 수준이다.
이어 성남시 분당구 13억4794만원, 하남시 9억4137만원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 매매가격을 보였다..
서울의 경우 강남구(25억2780만원), 서초구(23억7440만원), 송파구(18억9972만원) 등 강남3구가 높은 가격대를 형성했다. 강남 지역(13억8224만원)과 강북 지역(9억1306만원) 간의 가격 격차는 4억원 넘게 벌어졌다.
부산의 경우 5년간 아파트 평균 매매가 상승률은 21.6%으로 나타났다. 지역 내에서도 해운대구(5억6336만원)와 수영구(5억8714만원) 등 신흥 부촌 지역은 전국 평균 이상의 가격을 형성한 반면, 영도구(1억9258만원)나 중구(1억6323만원) 등 원도심은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양분석 팀장은 "GTX 노선 개발, 3기 신도시 추진, 서울 접근성 개선 등 다양한 요인이 맞물리면서 경기도 아파트값이 꾸준히 상승했다"며 "경기도는 여전히 서울에 비해 절대적인 가격 메리트가 있고, 특히 GTX 예정지 인근 분양 단지는 실수요자뿐 아니라 투자자들에게도 충분히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경기도에는 브랜드 건설사들의 신규 공급이 이어지고 있다. 남양주 평내호평역 일대에서 분양중인 '두산위브더제니스 평내호평역 N49'는 합리적인 분양가와 뛰어난 입지 조건으로 실수요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하남 교산신도시에서 분양한 ‘교산 푸르지오 더퍼스트’는 1순위 경쟁률 263대 1을 기록하며 높은 관심을 입증했고, 동탄2신도시의 ‘동탄 포레파크 자연& 푸르지오(1524가구)’, ‘동탄 꿈의숲 자연&데시앙(1170가구)’, 3기 신도시인 부천시 부천대장지구 A7·A8(865가구) 공공분양 물량 등도 청약 접수를 앞두고 있다.
뉴시스
20일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한국부동산원 월별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을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2025년 3월까지 경기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39.8% 상승했다.
이는 전국 평균 27.3%와 서울 평균 31.2%를 모두 넘어선 수치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에 이어 충북(37.2%), 세종(37.0%), 서울(31.2%), 강원(30.5%) 순으로 5년간 상승률이 높았다.
수도권 전체로 보면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33.5%로, 비수도권 지방 상승률 17.1%의 약 두 배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대구(1.3%)와 제주(1.9%)는 5년간 거의 가격 변동이 없었다.
경기도내 지역별로 보면 남양주시(41.7%), 고양시 덕양구(42.9%), 하남시(44.4%) 등은 40%를 넘는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올해 3월 기준 경기도 내에서 아파트 매매가격이 가장 비싼 지역은 과천시로 17억5991만원을 기록했다. 도내 가장 저렴한 지역인 포천시(1억5816만원)와 비교해선 11배가 넘는 수준이다.
이어 성남시 분당구 13억4794만원, 하남시 9억4137만원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 매매가격을 보였다..
서울의 경우 강남구(25억2780만원), 서초구(23억7440만원), 송파구(18억9972만원) 등 강남3구가 높은 가격대를 형성했다. 강남 지역(13억8224만원)과 강북 지역(9억1306만원) 간의 가격 격차는 4억원 넘게 벌어졌다.
부산의 경우 5년간 아파트 평균 매매가 상승률은 21.6%으로 나타났다. 지역 내에서도 해운대구(5억6336만원)와 수영구(5억8714만원) 등 신흥 부촌 지역은 전국 평균 이상의 가격을 형성한 반면, 영도구(1억9258만원)나 중구(1억6323만원) 등 원도심은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양분석 팀장은 "GTX 노선 개발, 3기 신도시 추진, 서울 접근성 개선 등 다양한 요인이 맞물리면서 경기도 아파트값이 꾸준히 상승했다"며 "경기도는 여전히 서울에 비해 절대적인 가격 메리트가 있고, 특히 GTX 예정지 인근 분양 단지는 실수요자뿐 아니라 투자자들에게도 충분히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경기도에는 브랜드 건설사들의 신규 공급이 이어지고 있다. 남양주 평내호평역 일대에서 분양중인 '두산위브더제니스 평내호평역 N49'는 합리적인 분양가와 뛰어난 입지 조건으로 실수요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하남 교산신도시에서 분양한 ‘교산 푸르지오 더퍼스트’는 1순위 경쟁률 263대 1을 기록하며 높은 관심을 입증했고, 동탄2신도시의 ‘동탄 포레파크 자연& 푸르지오(1524가구)’, ‘동탄 꿈의숲 자연&데시앙(1170가구)’, 3기 신도시인 부천시 부천대장지구 A7·A8(865가구) 공공분양 물량 등도 청약 접수를 앞두고 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