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탈코리아] 주대은 기자= 브라질의 부진이 끝나지 않는다.
브라질은 22일(한국 시간)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냥에서 열린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남미예선 6차전에서 아르헨티나에 0-1로 패배했다.
남미 예선은 별도의 조 편성 없이 10개 나라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6위까지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7위는 플레이오프로 향한다.
브라질은 이번 남미 예선에서 부진을 겪고 있었다. 2승 1무 2패로 5위에 위치했다. 주축 선수 네이마르와 비니시우스 주니오르의 부상 이탈로 인해 전력이 온전치 않은 상황이었다. 지난 5차전에선 콜롬비아에 1-2로 패배했다.
브라질 입장에선 분위기 반전과 순위 상승을 위해 이번 경기에서 무조건 승리해야 했다. 물론 6위 안에만 들어도 월드컵 본선 무대에 직행하지만, 브라질 명성에 맞지 않았다.


킥오프 직전 사건이 일어났다. 중계 화면엔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관중이 싸우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후 아르헨티나 관중이 경찰을 향해 이물질을 던졌고, 경찰도 아르헨티나 관중들에게 곤봉을 휘둘렀다.
각국 주장 리오넬 메시와 마르퀴뇨스를 비롯해 선수들이 관중석으로 다가가서 관중들을 말렸으나 소용이 없었다. 심지어 한 관중은 피를 흘리며 경기장을 빠져나갔다. 많은 관중이 두 팔을 번쩍 들어 올리며 진정을 요구했으나 상황이 마무리되지 않았다. 결국 더 많은 경찰이 투입된 뒤에야 상황이 정리됐다. 놀란 관중들은 눈물을 흘리는 모습도 나왔다.
대회 본부는 상황 파악과 관중 소요로 인해 경기를 지연시켰다. 아르헨티나 선수들은 라커룸으로 향했고, 브라질 선수들은 그라운드에 남은 채 대기했다. 이후 경기 감독관과 각 대표팀 책임자가 대화를 나눴고, 결국 경기가 재개됐다.


최대한 평정심을 가지고 경기에 임해야 했지만, 브라질은 그러지 못했다. 축구 통계 매체 ‘풋몹’에 따르면 브라질은 26번의 반칙을 범했다.
경기 내용도 좋지 않았다. 흥분을 가라앉히지 못하면서 공격 작업에서 세밀함이 떨어졌다. 또 네이마르와 비니시우스의 공백도 제대로 메우지 못했다. 선수들의 개인 기량에만 의존하며 아르헨티나 골문을 노렸다.
브라질이 경기를 주도했지만 선제골을 넣은 쪽은 아르헨티나였다. 후반 18분 로 셀소의 코너킥이 오타멘디 머리로 정확히 연결되며 브라질 골망을 흔들었다.


추격이 급했지만 자멸했다. 후반 34분 퇴장 선수가 나왔다. 브라질 조엘링턴과 아르헨티나 데 파울이 공이 지나간 후 서로를 밀고 잡아당겼다. 이후 조엘링톤이 데 파울의 얼굴 부위를 가격했고 퇴장당했다.
브라질이 교체 카드를 활용하며 공세에 나섰지만 별 효과가 없었다. 결국 아르헨티나에 0-1로 무릎 꿇었다.
브라질은 이번 패배로 체면을 구겼다. 브라질은 그동안 있었던 월드컵 예선 홈경기에서 무려 51승 13무 0패를 기록했다. 역사상 처음으로 월드컵 예선 홈 경기에서 졌다. 64경기 연속 무패가 끝났다. 또한 브라질이 월드컵 예선에서 3연패를 기록한 것도 역사상 이번이 처음이다.


브라질은 현재 월드컵 남미 예선 6위에 머물러 있다. 만약 같은 날 열린 파라과이와 콜롬비아 경기에서 파라과이가 지지 않았다면 브라질은 7위까지도 떨어질 수 있었다. 순위가 더 하락한다면 ‘월드컵 진출 실패’라는 최악의 결과를 맞이할 수도 있다.
브라질 부진의 가장 큰 원인은 ‘사령탑’으로 꼽힌다. 지난 2022 카타르 월드컵 이후 치치 감독의 후임자를 아직 제대로 찾지 못했다. 일각에선 레알 마드리드 카를로 안첼로티 감독이 부임할 거라는 이야기도 돌고 있으나, 한시라도 빠르게 정식 감독을 정하고 팀을 꾸리는 게 더 중요해 보인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브라질은 22일(한국 시간)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냥에서 열린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남미예선 6차전에서 아르헨티나에 0-1로 패배했다.
남미 예선은 별도의 조 편성 없이 10개 나라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6위까지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7위는 플레이오프로 향한다.
브라질은 이번 남미 예선에서 부진을 겪고 있었다. 2승 1무 2패로 5위에 위치했다. 주축 선수 네이마르와 비니시우스 주니오르의 부상 이탈로 인해 전력이 온전치 않은 상황이었다. 지난 5차전에선 콜롬비아에 1-2로 패배했다.
브라질 입장에선 분위기 반전과 순위 상승을 위해 이번 경기에서 무조건 승리해야 했다. 물론 6위 안에만 들어도 월드컵 본선 무대에 직행하지만, 브라질 명성에 맞지 않았다.


킥오프 직전 사건이 일어났다. 중계 화면엔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관중이 싸우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후 아르헨티나 관중이 경찰을 향해 이물질을 던졌고, 경찰도 아르헨티나 관중들에게 곤봉을 휘둘렀다.
각국 주장 리오넬 메시와 마르퀴뇨스를 비롯해 선수들이 관중석으로 다가가서 관중들을 말렸으나 소용이 없었다. 심지어 한 관중은 피를 흘리며 경기장을 빠져나갔다. 많은 관중이 두 팔을 번쩍 들어 올리며 진정을 요구했으나 상황이 마무리되지 않았다. 결국 더 많은 경찰이 투입된 뒤에야 상황이 정리됐다. 놀란 관중들은 눈물을 흘리는 모습도 나왔다.
대회 본부는 상황 파악과 관중 소요로 인해 경기를 지연시켰다. 아르헨티나 선수들은 라커룸으로 향했고, 브라질 선수들은 그라운드에 남은 채 대기했다. 이후 경기 감독관과 각 대표팀 책임자가 대화를 나눴고, 결국 경기가 재개됐다.


최대한 평정심을 가지고 경기에 임해야 했지만, 브라질은 그러지 못했다. 축구 통계 매체 ‘풋몹’에 따르면 브라질은 26번의 반칙을 범했다.
경기 내용도 좋지 않았다. 흥분을 가라앉히지 못하면서 공격 작업에서 세밀함이 떨어졌다. 또 네이마르와 비니시우스의 공백도 제대로 메우지 못했다. 선수들의 개인 기량에만 의존하며 아르헨티나 골문을 노렸다.
브라질이 경기를 주도했지만 선제골을 넣은 쪽은 아르헨티나였다. 후반 18분 로 셀소의 코너킥이 오타멘디 머리로 정확히 연결되며 브라질 골망을 흔들었다.


추격이 급했지만 자멸했다. 후반 34분 퇴장 선수가 나왔다. 브라질 조엘링턴과 아르헨티나 데 파울이 공이 지나간 후 서로를 밀고 잡아당겼다. 이후 조엘링톤이 데 파울의 얼굴 부위를 가격했고 퇴장당했다.
브라질이 교체 카드를 활용하며 공세에 나섰지만 별 효과가 없었다. 결국 아르헨티나에 0-1로 무릎 꿇었다.
브라질은 이번 패배로 체면을 구겼다. 브라질은 그동안 있었던 월드컵 예선 홈경기에서 무려 51승 13무 0패를 기록했다. 역사상 처음으로 월드컵 예선 홈 경기에서 졌다. 64경기 연속 무패가 끝났다. 또한 브라질이 월드컵 예선에서 3연패를 기록한 것도 역사상 이번이 처음이다.


브라질은 현재 월드컵 남미 예선 6위에 머물러 있다. 만약 같은 날 열린 파라과이와 콜롬비아 경기에서 파라과이가 지지 않았다면 브라질은 7위까지도 떨어질 수 있었다. 순위가 더 하락한다면 ‘월드컵 진출 실패’라는 최악의 결과를 맞이할 수도 있다.
브라질 부진의 가장 큰 원인은 ‘사령탑’으로 꼽힌다. 지난 2022 카타르 월드컵 이후 치치 감독의 후임자를 아직 제대로 찾지 못했다. 일각에선 레알 마드리드 카를로 안첼로티 감독이 부임할 거라는 이야기도 돌고 있으나, 한시라도 빠르게 정식 감독을 정하고 팀을 꾸리는 게 더 중요해 보인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