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도 한번 써보십쇼. 제가 일 하는 건 자신이 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공식 선거운동 이튿날인 13일을 포함해 이틀에 걸쳐 도전지로 꼽히는 영남권 표심 잡기에 나섰다. 민주당의 첫 TK(대구·경북) 출신 대선 후보인 이 후보가 영남권까지 아우르는 압도적인 대선 승리로 한국 사회의 묵힌 숙제인 국민 통합에 한 걸음 다가설지 관심이 집중된다.
이 후보는 13일 경북 구미역 광장에서 ""여러분 '재명이가 남이가' 이렇게 얘기 좀 해달라"며 "'우리가 남이가'라는 소리를 많이 들었는데 왜 이재명에 대해선 '우리가 남이가'라는 소리를 안 해주시나"라고 말했다. 청중들 사이에선 웃음이 터졌다.
그러면서 "여기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출생한 곳이라고 한다.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도 다양하다"며 "(박 전 대통령이) 독재하고 군인과 사법기관을 동원해 사법 살인하고 고문하고 장기 집권하고 민주주의를 말살하는 아주 나쁜 사람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 이 나라의 산업화를 이끌어 낸 공도 있는 것 아닌가"라고 했다.
이 후보는 또 이날 대구 동성로에서 "이재명도 한번 써보시라. 제가 일 하는 것은 자신이 있다"며 "여러분을 위해 일하는 정치 집단을 선택하시라. 색깔이 무슨 상관이 있나"라고 밝혔다. 이어 "김대중 정책이면 어떠하고 박정희 정책이면 어떠한가"라며 "국민의 삶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면 좌우나 색깔, 지역, 출신을 가릴 필요 없는 것 아닌가"라고 했다.
이 후보는 오는 14일에는 부산 남구 유엔기념공원에서 참배한 후 부산 부산진구 서면역 인근, 경남 창원 상남분수광장, 경남 통영 강구안 문화마당, 경남 거제 '엠파크 차 없는 거리'에서 집중 유세를 펼친다.
이 후보 측은 "지금 필요한 시대 정신은 성장과 통합"이라며 "공식 선거운동 개시 직후 영남권 행보는 민주당의 첫 TK 출신 대선 후보가 실용을 기치로 대한민국을 '레벨업'할 때 비로소 지역과 이념의 시대를 끝내고 통합의 시대를 열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가 자신의 텃밭으로 꼽히는 수도권 및 민주당의 정치적 거점으로 꼽히는 호남을 넘어 TK까지 정치적 외연을 확장하는 시도로 풀이된다. 실제 이 후보는 최근 대선 후보 선출과 관련 국민의힘의 당내 내홍 후 영남에서도 도전지로 꼽히는 대구·경북에서 선전하고 있다.
한길리서치가 지난 11~12일 전국 만 18세 이상 15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이번 대선에서 누구를 지지하나'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9.5%가 이재명 후보라고 답했다. 이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38.2%),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5.7%) 순이었다.
이 후보는 대구·경북 지역에서 36.6%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김 후보(42.9%)와 6.3%포인트(P) 차이다. 이같은 이 후보 지지율은 이 후보가 지난 대선 당시 대구(21.6%), 경북(23.8%)에서 얻은 득표율보다 높은 수치다.
최병천 신성장경제연구소장은 "양 측 진영이 박빙이라면 '스윙 보터'(유동 투표층)인 수도권을 잡아야 하고 상당히 뒤처지고 있다면 호남을 중심으로 결집을 하려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외연 확장은 진보 진영이 완전히 결집된 상태여야 한다. 또 주류 중 주류가 하지 아니면 힘들다"며 "지금은 이 후보의 외연 확장이 가능한 판"이라고 했다.
이 후보가 수도권과 호남 뿐 아니라 영남에서도 일정 수준의 지지를 받을 때 이 후보가 강조하는 통합에 대한 동력도 생긴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박창환 장안대 교수 겸 정치평론가는 "이 후보가 호남이나 진보 세력의 대선 후보가 아닌 국민 통합의 후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 않느냐"며 "이를 증명하려면 영남에서도 경쟁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후보에 대한 열성 지지자들도 있지만 '반 윤석열' 정서에 이 후보를 지지하는 국민들도 상당수"라며 "대선 승리를 넘어 향후 국정 동력을 확보를 위해서라도 압도적인 지지가 필요하다"고 했다.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번호 걸기)를 이용한 무선 ARS(자동 응답 시스템)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6.4%이며 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는 ±2.5%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머니투데이 이원광, 조성준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공식 선거운동 이튿날인 13일을 포함해 이틀에 걸쳐 도전지로 꼽히는 영남권 표심 잡기에 나섰다. 민주당의 첫 TK(대구·경북) 출신 대선 후보인 이 후보가 영남권까지 아우르는 압도적인 대선 승리로 한국 사회의 묵힌 숙제인 국민 통합에 한 걸음 다가설지 관심이 집중된다.
이 후보는 13일 경북 구미역 광장에서 ""여러분 '재명이가 남이가' 이렇게 얘기 좀 해달라"며 "'우리가 남이가'라는 소리를 많이 들었는데 왜 이재명에 대해선 '우리가 남이가'라는 소리를 안 해주시나"라고 말했다. 청중들 사이에선 웃음이 터졌다.
그러면서 "여기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출생한 곳이라고 한다.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도 다양하다"며 "(박 전 대통령이) 독재하고 군인과 사법기관을 동원해 사법 살인하고 고문하고 장기 집권하고 민주주의를 말살하는 아주 나쁜 사람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 이 나라의 산업화를 이끌어 낸 공도 있는 것 아닌가"라고 했다.
이 후보는 또 이날 대구 동성로에서 "이재명도 한번 써보시라. 제가 일 하는 것은 자신이 있다"며 "여러분을 위해 일하는 정치 집단을 선택하시라. 색깔이 무슨 상관이 있나"라고 밝혔다. 이어 "김대중 정책이면 어떠하고 박정희 정책이면 어떠한가"라며 "국민의 삶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면 좌우나 색깔, 지역, 출신을 가릴 필요 없는 것 아닌가"라고 했다.
이 후보는 오는 14일에는 부산 남구 유엔기념공원에서 참배한 후 부산 부산진구 서면역 인근, 경남 창원 상남분수광장, 경남 통영 강구안 문화마당, 경남 거제 '엠파크 차 없는 거리'에서 집중 유세를 펼친다.
이 후보 측은 "지금 필요한 시대 정신은 성장과 통합"이라며 "공식 선거운동 개시 직후 영남권 행보는 민주당의 첫 TK 출신 대선 후보가 실용을 기치로 대한민국을 '레벨업'할 때 비로소 지역과 이념의 시대를 끝내고 통합의 시대를 열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가 자신의 텃밭으로 꼽히는 수도권 및 민주당의 정치적 거점으로 꼽히는 호남을 넘어 TK까지 정치적 외연을 확장하는 시도로 풀이된다. 실제 이 후보는 최근 대선 후보 선출과 관련 국민의힘의 당내 내홍 후 영남에서도 도전지로 꼽히는 대구·경북에서 선전하고 있다.
한길리서치가 지난 11~12일 전국 만 18세 이상 15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이번 대선에서 누구를 지지하나'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9.5%가 이재명 후보라고 답했다. 이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38.2%),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5.7%) 순이었다.
이 후보는 대구·경북 지역에서 36.6%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김 후보(42.9%)와 6.3%포인트(P) 차이다. 이같은 이 후보 지지율은 이 후보가 지난 대선 당시 대구(21.6%), 경북(23.8%)에서 얻은 득표율보다 높은 수치다.
최병천 신성장경제연구소장은 "양 측 진영이 박빙이라면 '스윙 보터'(유동 투표층)인 수도권을 잡아야 하고 상당히 뒤처지고 있다면 호남을 중심으로 결집을 하려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외연 확장은 진보 진영이 완전히 결집된 상태여야 한다. 또 주류 중 주류가 하지 아니면 힘들다"며 "지금은 이 후보의 외연 확장이 가능한 판"이라고 했다.
이 후보가 수도권과 호남 뿐 아니라 영남에서도 일정 수준의 지지를 받을 때 이 후보가 강조하는 통합에 대한 동력도 생긴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박창환 장안대 교수 겸 정치평론가는 "이 후보가 호남이나 진보 세력의 대선 후보가 아닌 국민 통합의 후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 않느냐"며 "이를 증명하려면 영남에서도 경쟁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후보에 대한 열성 지지자들도 있지만 '반 윤석열' 정서에 이 후보를 지지하는 국민들도 상당수"라며 "대선 승리를 넘어 향후 국정 동력을 확보를 위해서라도 압도적인 지지가 필요하다"고 했다.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번호 걸기)를 이용한 무선 ARS(자동 응답 시스템)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6.4%이며 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는 ±2.5%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머니투데이 이원광, 조성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