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RTALKOREA] 황보동혁 기자= 과거 2번의 우승을 합작한 바 있는 스테픈 커리와 케빈 듀란트(피닉스 선즈)가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에서 재회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GSW는 15일(이하 한국시간) 미네소타 타깃 센터에서 열린 2024/25 NBA 서부 콘퍼런스 2라운드 5차전에서 미네소타 팀버울브스에 110-121로 패하며 시리즈 전적 1승 4패로 탈락이 확정됐다.

브랜든 포지엠스키(28득점 6리바운드 4어시스트), 조나단 쿠밍가(26득점 3리바운드 2스틸)가 분전했고, 지미 버틀러(17득점 6리바운드 6어시스트)와 드레이먼드 그린(10득점 6리바운드 6어시스트)도 힘을 보탰지만, 시리즈 초반 부상으로 이탈한 스테픈 커리의 공백은 끝내 메워지지 않았다.

GSW는 정규시즌 트레이드 마감일을 앞두고 마이애미 히트로부터 지미 버틀러를 영입하며‘우승을 위한 승부수를 던졌다. 마이애미,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시카고 불스 등에서 플레이오프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 버틀러는 커리를 뒷받침 해줄 파트너로 낙점됐다.
버틀러는 기대에 부응했다. 이번 플레이오프 11경기에서 평균 36분을 뛰며 19.2득점 6.6리바운드 5.2어시스트를 기록, 꾸준한 활약을 이어갔다. 그러나 커리 없이 공격을 주도하기에는 한계가 분명했고 커리가 없는 GSW는 결국 무너졌다.

이에 따라 현지에서는 GSW가 커리,버틀러에 뒤를 이을 확실한 스코어러 보강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ESPN의 샴즈 샤라니아 기자는 “워리어스는 이번 오프시즌 매우 공격적으로 움직일 예정”이라며 “플레이메이킹이 가능한 윙 수비수나 센터 영입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으며, 커리와 커 감독 모두가 인정할 수 있는 ‘전술적·문화적 궁합’을 중요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런 상황에서 GSW팬들과 선수단에게 익숙한 이름이 급부상하기 시작했다. 바로 과거 GSW에서 우승을 경험한 바 있는 듀란트다.

미국 매체 ‘헤비스포츠’는 23일 ‘블리처리포트’의 잭 버클리 기자 보도를 인용해 “GSW가 이번 오프시즌 듀란트 영입을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버클리는 “듀란트는 여전히 위대한 선수지만, 다음 시즌 개막 시점에는 만 37세가 되며, 잦은 부상 이력도 있다”며 “그의 기량과 계약 조건을 감당하면서도 우승을 노릴 여유가 있는 팀은 많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GSW는 모지스 무디, 포지엠스키, 쿠밍가의 사인 앤 트레이드 패키지에 지명권과 스왑권까지 포함할 경우, 듀란트 영입이 가능한 몇 안 되는 팀 중 하나다. 이는 양측 모두에게 있어 최선이 될 수 있다”라고 분석했다.

듀란트는 과거 GSW에서 두 차례 파이널 MVP(2017, 2018)를 수상하며 팀을 정상으로 이끈 바 있고, 오클라호마시티 선더에서는 정규시즌 MVP(2014)수상한 적 있는 리그 최고의 슈퍼스타 중 한명이다.
이번 시즌에도 그는 노쇠화와 부상 우려 속에서도 평균 26.6득점 6.0리바운드, 야투 성공률 52.7%, 3점 성공률 43.0%, 자유투 성공률 83.9%를 기록하며 여전히 리그 정상급의 효율과 득점력을 유지하고 있다.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피닉스가 듀란트를 트레이드할 이유는 없지만, 이번 시즌 서부 콘퍼런스 11위로 정규시즌을 마치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한 피닉스는 데빈 부커를 제외한 대부분의 선수들을 트레이드 시장에 내놓을 가능성이 높아졌고, 듀란트 역시 전력 보강을 원하는 팀들 사이에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물론 이제 36세에 접어들며 과거 GSW에서 뛰던 시절만큼의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는 어렵지만 여전히 리그 최정상급의 득점력을 뽐낼 수 있는 선수다.

커리의 마지막 전성기에 한번 더 우승을 노리고 있는 GSW입장에서는 충분히 노려볼 만한 영입이다. 게다가 매체에 따르면 듀란트 역시 GSW복귀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월 '드레이먼드 그린 쇼'에 출연한 듀란트는 GSW 복귀설에 대해 "시즌이 끝난 뒤에 트레이드를 원한다면 그때 다시 얘기해보자. 중간에 옮기는 건 큰 변화고, 나도 경험해봤기에 안다고 말하고 싶다”며 여지를 남긴바 있다.
듀란트 입장에서도 선수 생활 말년에 접어든 시점에서 트레이드 된다면 확실히 우승을 노릴 수 있는 팀을 선호할 확률이 높다. 그런 면에서 선수 입장에서 커리와 버틀러가 있는 GSW는 굉장히 매력적인 행선지다.

게다가 피닉스 역시 GSW와의 거래가 나쁘지 않은 선택지다. 우선 무디, 쿠밍가, 포지엠스키와 같은 매력적인 유망주들도 존재하고 알려진 바에 따르면 GSW는 드래프트 이후 최대 4장의 1라운드 픽이 생긴다. 리빌딩을 노리는 피닉스 입장에서는 충분히 매력적인 제안이 될 수 있다.
과연 커리의 전성기에 한번 더 우승을 노리고 있는 GSW가 여전히 리그 최고의 스코어러로 꼽히는 듀란트 영입이라는 과감한 결단을 통해 목표를 이룰 수 있을지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 게티이미지코리아, BASKETBALL FOREVER 페이스북
GSW는 15일(이하 한국시간) 미네소타 타깃 센터에서 열린 2024/25 NBA 서부 콘퍼런스 2라운드 5차전에서 미네소타 팀버울브스에 110-121로 패하며 시리즈 전적 1승 4패로 탈락이 확정됐다.


GSW는 정규시즌 트레이드 마감일을 앞두고 마이애미 히트로부터 지미 버틀러를 영입하며‘우승을 위한 승부수를 던졌다. 마이애미,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시카고 불스 등에서 플레이오프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 버틀러는 커리를 뒷받침 해줄 파트너로 낙점됐다.
버틀러는 기대에 부응했다. 이번 플레이오프 11경기에서 평균 36분을 뛰며 19.2득점 6.6리바운드 5.2어시스트를 기록, 꾸준한 활약을 이어갔다. 그러나 커리 없이 공격을 주도하기에는 한계가 분명했고 커리가 없는 GSW는 결국 무너졌다.

이에 따라 현지에서는 GSW가 커리,버틀러에 뒤를 이을 확실한 스코어러 보강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ESPN의 샴즈 샤라니아 기자는 “워리어스는 이번 오프시즌 매우 공격적으로 움직일 예정”이라며 “플레이메이킹이 가능한 윙 수비수나 센터 영입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으며, 커리와 커 감독 모두가 인정할 수 있는 ‘전술적·문화적 궁합’을 중요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런 상황에서 GSW팬들과 선수단에게 익숙한 이름이 급부상하기 시작했다. 바로 과거 GSW에서 우승을 경험한 바 있는 듀란트다.

미국 매체 ‘헤비스포츠’는 23일 ‘블리처리포트’의 잭 버클리 기자 보도를 인용해 “GSW가 이번 오프시즌 듀란트 영입을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버클리는 “듀란트는 여전히 위대한 선수지만, 다음 시즌 개막 시점에는 만 37세가 되며, 잦은 부상 이력도 있다”며 “그의 기량과 계약 조건을 감당하면서도 우승을 노릴 여유가 있는 팀은 많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GSW는 모지스 무디, 포지엠스키, 쿠밍가의 사인 앤 트레이드 패키지에 지명권과 스왑권까지 포함할 경우, 듀란트 영입이 가능한 몇 안 되는 팀 중 하나다. 이는 양측 모두에게 있어 최선이 될 수 있다”라고 분석했다.

듀란트는 과거 GSW에서 두 차례 파이널 MVP(2017, 2018)를 수상하며 팀을 정상으로 이끈 바 있고, 오클라호마시티 선더에서는 정규시즌 MVP(2014)수상한 적 있는 리그 최고의 슈퍼스타 중 한명이다.
이번 시즌에도 그는 노쇠화와 부상 우려 속에서도 평균 26.6득점 6.0리바운드, 야투 성공률 52.7%, 3점 성공률 43.0%, 자유투 성공률 83.9%를 기록하며 여전히 리그 정상급의 효율과 득점력을 유지하고 있다.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피닉스가 듀란트를 트레이드할 이유는 없지만, 이번 시즌 서부 콘퍼런스 11위로 정규시즌을 마치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한 피닉스는 데빈 부커를 제외한 대부분의 선수들을 트레이드 시장에 내놓을 가능성이 높아졌고, 듀란트 역시 전력 보강을 원하는 팀들 사이에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물론 이제 36세에 접어들며 과거 GSW에서 뛰던 시절만큼의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는 어렵지만 여전히 리그 최정상급의 득점력을 뽐낼 수 있는 선수다.

커리의 마지막 전성기에 한번 더 우승을 노리고 있는 GSW입장에서는 충분히 노려볼 만한 영입이다. 게다가 매체에 따르면 듀란트 역시 GSW복귀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월 '드레이먼드 그린 쇼'에 출연한 듀란트는 GSW 복귀설에 대해 "시즌이 끝난 뒤에 트레이드를 원한다면 그때 다시 얘기해보자. 중간에 옮기는 건 큰 변화고, 나도 경험해봤기에 안다고 말하고 싶다”며 여지를 남긴바 있다.
듀란트 입장에서도 선수 생활 말년에 접어든 시점에서 트레이드 된다면 확실히 우승을 노릴 수 있는 팀을 선호할 확률이 높다. 그런 면에서 선수 입장에서 커리와 버틀러가 있는 GSW는 굉장히 매력적인 행선지다.

게다가 피닉스 역시 GSW와의 거래가 나쁘지 않은 선택지다. 우선 무디, 쿠밍가, 포지엠스키와 같은 매력적인 유망주들도 존재하고 알려진 바에 따르면 GSW는 드래프트 이후 최대 4장의 1라운드 픽이 생긴다. 리빌딩을 노리는 피닉스 입장에서는 충분히 매력적인 제안이 될 수 있다.
과연 커리의 전성기에 한번 더 우승을 노리고 있는 GSW가 여전히 리그 최고의 스코어러로 꼽히는 듀란트 영입이라는 과감한 결단을 통해 목표를 이룰 수 있을지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 게티이미지코리아, BASKETBALL FOREVER 페이스북